2025. 1. 15. 15:24ㆍ카테고리 없음
카드형 온누리 상품권의 특별할인 및 환급
고물가 시대에 살고 있는 만큼 신용카드 외 현금 사용시에도 할인 받을수 있는 온누리 상품권이 인기가 많습니다
그동안은 지류 상품권으로 주로 사용 하였기에 온누리 상품권 가맹점에서 상품권으로 구매 하면 되는
간단한 사용법이 있었지만 최근 카드에도 충천이 가능해 지면서 카드형 온누리 상품권에 관한
문의 사항이 많은걸 볼 수 있어서 카드형 온누리 상품권 사용법과 할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볼게요.
1. 온누리 상품권 카드형 개요
온누리 상품권의 카드형은 오프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충전식 카드 형태의 상품권입니다. 기존의 지류 상품권과 달리 충전과 사용이 간편하며, 따로 온누리 상품권용 카드가 필요없이 기존 사용하던 카드에도 충전이 가능하며
바코드와 QR코드를 통해서도 결제가 가능합니다.
2. 충전 방법
충전 방법 | 구체적인 절차 | 비고 |
은행 창구 충전 | 1. 지정된 은행(우리은행, 신한은행, 국민은행 등) 방문 2. 신분증 및 온누리 카드 지참 3. 원하는 금액 충전 요청 |
일부 은행은 예약 필요 |
모바일 앱 충전 | 1. 온누리 상품권 제휴 앱(제로페이 앱 등) 다운로드 2. 본인 기존 보유하고 있던 카드로 등록 후 충전 메뉴 선택 3. 계좌 또는 카드로 결제 |
충전 수수료 없음 |
온라인 사이트 충전 | 1. 온누리 상품권 공식 홈페이지 접속 2. 회원가입 및 카드 등록 3. 충전 금액 입력 후 결제 |
24시간 이용 가능 |
ATM 충전 | 1. 온누리 카드와 연결된 은행의 ATM 방문 2. ‘상품권 충전’ 메뉴 선택 3. 온누리 카드 삽입 후 금액 입력 |
일부 은행 ATM에서만 가능 |
3. 사용 방법
결제 방식 | 이용방법 | 주요 특징 |
바코드 결제 | 1. 전통시장 가맹점에서 결제 시 온누리 카드 제시 2. 카드 뒷면 바코드를 가맹점 단말기에 스캔 3. 결제 완료 |
가맹점 단말기가 필요함 |
QR코드 결제 | 1. 온누리 카드와 연동된 모바일 앱 실행 2. QR코드 생성 후 가맹점에서 스캔 3. 결제 완료 |
스마트폰 사용이 필수 |
카드 결제 | 1. 가맹점에서 카드 단말기에 온누리 카드 삽입 2. PIN번호 입력 후 결제 3. 영수증 확인 |
일반 카드처럼 간편하게 사용 가능 체크카드의 경우 온누리상품권 충전 금이 먼저 사용된 후 부족한 경우 통장의 금액이 사용됨 |
4. 주의사항 및 참고사항
사용 제한 | 온누리 카드형 상품권은 전통시장과 일부 사용 가능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 대형마트나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사용 불가. |
유효기간 | 충전 후 유효기간은 최대 5년. 만료 전 반드시 사용해야 함. |
할인 구매 한도 | 개인별 월 최대 할인 구매 한도 적용 (보통 50만 원, 정책에 따라 변동 가능). |
환불 정책 | 충전 금액의 60% 이상 사용 시 환불 가능. 환불 시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음. |
분실 시 대처 | 카드 분실 시 온누리 상품권 고객센터(1577-3690)에 즉시 신고하여 분실 등록 후 재발급 요청. |
잔액 확인 방법 | 모바일 앱, ATM, 은행 창구 등에서 카드 잔액 확인 가능. |
5. 장점과 활용 팁
- 편리함: 직접 사러 가야 하는 지류 상품권과 달리 온라인 충전이 가능해 편리함.
- 안전성: 카드 분실 시 즉시 신고 후 재발급 가능, 현금보다 안전.
- 사용 팁: 지류 상품권보다 할인폭이 커서 더 이익이며, 충전 시 할인 혜택을 적극 활용하여 최대 금액으로 구매하고,
유효기간을 체크하여 계획적으로 사용.
카드형 온누리 상품권의 할인 및 설 연휴 특별할인
설 연휴를 맞아 정부에서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카드형, 모바일형)의 특별 할인과 추가 혜택이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1. 15% 특별 할인 판매
2025년 1월 10일부터 2월 10일까지 한 달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의 할인율이 기존 10%에서 15%로 일시 상향되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상품권을 구매하면 15%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추가 환급 혜택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구매 시, 결제액의 최대 15%를 환급받을 수 있는 이벤트도 진행 중입니다.
환급은 총 4회에 걸쳐 진행되며, 각 회차별로 카드형과 모바일형 각각 최대 2만 원까지 환급이 가능합니다.
환급은 결제 금액의 15%에 해당하며, 최소 결제금액은 7,000원 이상이어야 합니다.
3. 온라인 전통시장 추가 할인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온누리시장, 온누리전통시장 등 12곳의 온라인 전통시장에서 상품을 구매할 때, 상품금액의 5%를 추가로 할인받을 수 있는 쿠폰이 제공됩니다.
이 혜택은 디지털상품권 구매 할인(15%), 환급 행사(15%)와 더불어 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 할인쿠폰(5%)까지 모두 적용받을 수 있어, 최대 35%의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4. 대구로 플랫폼 추가 할인
대구 시민을 위한 추가 혜택으로, 시민생활종합플랫폼 '대구로'에서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하면 5%의 추가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혜택은 설 연휴를 포함한 한 달 동안 제공됩니다.
이러한 혜택을 통해 설 연휴를 맞아 전통시장에서 쇼핑을 계획하신다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활용하여 다양한 할인과 환급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2025년 설 명절 할인 및 이벤트 행사 진행처
각 운영사 별로 행사 하는 날짜와 운용앱이 다르니 확인 하셔서
알뜰한 설명절 보내시길 바랍니다.
플랫폼명 | 운영기관 | 홈페이지 | 시작일 |
1 | 온누리시장 | 이지네트웍스(주) | https://www.onnuri-mall.co.kr/ | 1.14 |
2 | 온누리전통시장 | 현대이지웰(주) | https://www.onnuri-sijang.com/ | 1.15 |
3 | 온누리데이 | 온누리굿 | https://www.onnurigood.com/ | 1.14 |
4 | 온누리쇼핑 | (주)카비파트너스 | https://onnurishop.co.kr/ | 1.10 |
5 | 비씨온누리몰 | BC카드 | https://bconnurimall.com/ | 1.10 |
6 | 온누리마켓 | 비케이컴 | https://nurimarket.co.kr/ | 1.10 |
7 | 대구로 | 대구로 | 대구로 | 1.14 |
8 | 놀장 | 마켓트리 | 구글스토어 | 1.10 |
9 | 땡겨요 | 신한은행 | 땡겨요 앱 | 1.22 |
10 | 시장왕으로 | 올리컴퍼니 | 시장 방문으로 | 1.14 |
11 | KB Pay 쇼핑 | KB 국민카드 | 구글 애플스토어 | 1.10 |